반응형
AWS의 S3
S3 버킷은 AWS의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로, 다양한 데이터 저장 및 배포 시나리오에 활용되는데 주요 사용 사례와 주의할 점에 대해 정리
S3 버킷 사용 사례
-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:
HTML, CSS, JavaScript 및 미디어 파일 등 정적 콘텐츠를 저장하고, 전 세계 사용자에게 빠르게 제공 - 백업 및 복구:
데이터 백업, 로그 파일 저장, 애플리케이션 스냅샷 등을 저장하여 재해 복구 시 활용 - 데이터 레이크 및 빅데이터 분석:
대량의 구조화 및 비구조화 데이터를 저장하고, Amazon Athena, Redshift Spectrum, EMR 등과 연계하여 분석 - 파일 공유 및 콘텐츠 배포:
이미지, 비디오, 소프트웨어 패키지 등의 파일을 저장하여, 사용자나 다른 시스템과 안전하게 공유 -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저장소:
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업로드 파일, 로그, 메타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
S3 버킷 사용 시 주의할 점
- 액세스 제어:
버킷 및 객체에 대한 퍼블릭 액세스가 기본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하고, IAM 정책, 버킷 정책, ACL 등을 통해 접근 권한을 세밀하게 관리 (실수로 퍼블릭하게 설정할 경우 데이터 유출 위험이 큼) - 데이터 암호화:
민감한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, S3 Server-Side Encryption(SSE)이나 클라이언트 측 암호화 기능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해야 함 - 비용 관리:
사용량이 많을 경우 비용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으므로, 적절한 스토리지 클래스(예: Standard, Infrequent Access, Glacier 등)를 선택하고, 수명 주기 정책을 설정하여 불필요한 데이터는 자동으로 아카이빙하거나 삭제하도록 관리 - 버전 관리:
데이터 변경 이력을 관리해야 하는 경우 S3 버전 관리 기능을 활성화하면 좋지만, 저장 용량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 관리 필요 - 데이터 전송 및 네트워크 보안:
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(HTTPS)를 사용하여 전송 중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고, VPC 엔드포인트를 활용해 AWS 내부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
반응형
'개발이야기 > 웹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코드잇 스프린트 풀스택 4기] 좋은 테스트란 무엇인가 (0) | 2025.04.14 |
|---|---|
| [코드잇 스프린트 풀스택 4기] AWS IAM은 무엇이며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가 (0) | 2025.03.30 |
| [코드잇 스프린트 풀스택 4기] AWS VPC란 (0) | 2025.03.30 |
| [코드잇 스프린트 풀스택 4기] AWS의 EC2 인스턴스란 (1) | 2025.03.30 |
| [코드잇 스프린트 풀스택 4기] AWS의 글로벌 instructure 구성 요소 (0) | 2025.03.30 |